프로그램 DDNS vs 웹 DDNS 차이점

DDNS(Dynamic DNS)는 ISP로부터 할당받아 언제든 변경될 수 있는 공인(유동) IP 주소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항상 동일한 도메인 이름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이다.

하지만 DDNS(Dynamic DNS) 방식에는 프로그램 DDNS웹 DDNS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그리고 둘 다 IP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도메인과 연결해 주는 기능을 하지만,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 프로그램 DDNS (클라이언트 기반 DDNS)

프로그램 DDNS는 DDNS 업데이트를 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클라이언트)을 PC, NAS, 서버 등에 설치해서 동작하는 방식이다.

프로그램을 한 번만 설치해두면 주기적으로 현재의 공인 IP를 감지한 뒤, 변경된 IP를 DDNS 서버에 자동으로 업데이트 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웹 DDNS와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PC에 설치가 필요한가 여부’이다.

⚙️ 동작 방식

  1. PC/NAS/서버에 DDNS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
  2. 클라이언트가 현재 공인 IP를 DDNS 서버에 전송
  3. IP가 변경될 때마다 자동 업데이트
  4. 도메인(URL)이 항상 최신 IP를 가리키도록 유지됨

장점

✔ 서버 운영에 최적화 (항상 실행되는 PC/NAS에 설치하면 안정적)

✔ 특정 플랫폼에서 직접 실행 가능 (윈도우, 리눅스, 라즈베리파이 등)

✔ 빠른 업데이트 가능 (DDNS 클라이언트가 실시간 감지)

단점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장치(PC/NAS 등)가 꺼져 있으면 IP 업데이트 불가능

✖ 공유기에서 DDNS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만 필요

🔹 대표적인 프로그램 DDNS 서비스

  • No-IP DUC (Dynamic Update Client) → PC/NAS에서 사용 가능
  • DuckDNS 클라이언트 (Python, Bash 스크립트로 구현 가능)
  • DynDNS 클라이언트
  • Cloudflare DDNS 스크립트 (자동 업데이트용 스크립트 사용 가능)

2. 웹 DDNS (공유기/DDNS 서비스 기반)

웹 DDNS는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공유기 또는 웹 DDNS 서비스에서 직접 IP를 감지하고 업데이트 하는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요즘 대부분의 공유기에는 DDNS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 동작 방식

  1. 공유기 설정에서 DDNS 서비스에 로그인
  2. 공유기가 현재 공인 IP를 감지하고 DDNS 서버에 업데이트
  3. IP가 변경될 때 공유기가 자동으로 DDNS에 업데이트
  4. 사용자는 동일한 도메인(URL)로 접속 가능

장점

✔ 프로그램 설치 없이 공유기에서 바로 설정 가능

PC/NAS가 꺼져 있어도 문제없음 (공유기가 직접 IP 업데이트)

✔ 대부분의 공유기에서 무료 DDNS 서비스 지원

단점

✖ 공유기 제조사마다 설정 방식이 다를 수 있음

✖ 공유기가 ISP의 공인 IP를 직접 가져오지 못하는 경우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음 (이중 NAT 환경에서 문제 발생 가능)

🔹 웹 DDNS가 지원되는 공유기 예시

  1. ipTIME 공유기 (No-IP, DynDNS 지원)
  2. ASUS 공유기 (ASUS DDNS, No-IP 지원)
  3. Netgear, TP-Link 공유기 (DDNS 설정 가능)
  4. Ubiquiti, MikroTik 같은 전문가용 공유기

프로그램 DDNS vs 웹 DDNS 비교 정리 🔍

구분프로그램 DDNS웹 DDNS (공유기 기반)
설정 방식PC/NAS에 프로그램 설치공유기 설정에서 DDNS 활성화
IP 감지 주체프로그램이 직접 감지공유기가 감지 후 업데이트
운영 가능 상태프로그램 실행 중일 때만 작동공유기가 켜져 있으면 항상 작동
설치 필요 여부추가 프로그램 설치 필요프로그램 설치 필요 없음
장점빠른 업데이트 가능, 다양한 OS 지원공유기가 자동 업데이트, PC 꺼져도 문제없음
단점프로그램 실행해야 함, PC 꺼지면 불가능공유기에서 특정 DDNS 서비스만 지원할 수 있음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 공유기에서 DDNS를 지원하면 → 웹 DDNS (공유기 DDNS) 사용

✅ 공유기가 DDNS를 지원하지 않거나, 특정 장치(IP 카메라, NAS)에서 직접 업데이트해야 하면 → 프로그램 DDNS 사용

✅ NAS(시놀로지, QNAP) 사용 중이면 → NAS의 DDNS 기능 활용 가능

✅ IP 변경 감지가 빠르고 실시간 업데이트가 필요하면 → 프로그램 DDNS가 유리

🔹 마무리 정리

📌 프로그램 DDNS → PC/NAS에서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IP 변경을 감지하고 업데이트하는 방식

📌 웹 DDNS (공유기 DDNS) → 공유기가 직접 DDNS 서버에 IP를 업데이트하는 방식

📌 웹 DDNS(공유기 기반 DDNS)가 더 편리하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 DDNS를 사용해야 함!

📌 운영하는 서비스(서버, 원격 접속, CCTV 등)에 따라 최적의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궁금한 내용을 남겨주세요 💬